경영혁신

국내인증지도실적 1위, 중소벤처기업부 등록 컨설팅기관

ESG경영

ESG의 개념

1. ESG 경영이란

Environmental(환경), Social(사회), Governance(지배구조)의 첫 글자로 비재무적인 경영이며 기업의 가치를 높이는 경영이다.
“Increased Importance of ESG in terms of Corporate Value Enhancement”

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 기후변화 및 탄소 배출
  • 환경오염 및 환경규제
  • 생태계 및 생물 다양성
  • 데이터 보호 및 프라이버시
  • 인권, 성별 평등 및 다양성
  • 지역사회 관계
  • 이사회 및 감사위원회 구성
  • 뇌물 및 반부패
  • 기업윤리

2. ESG 개념의 관점

규범적 관점
(Normative perspective)
기업의 준수 의무
사회의 목표와 가치 측면에서 바람직한 정책을 추구하고, 그에 대한 의사결정 혹은 행동을 실시하는 기업인의 의무 (Bowen, 1953)
통합적 관점
(Integrated perspective)
이해관계자 기대부합
특정 시점에 사회가 조직에 대해 가지는 경제적, 법적, 윤리적, 자율적 기대를 포괄함 (Carroll. 1979)
도구적 관점
(Instrumental perspective)
투자의사결정 반영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투자 형태로 볼 수 있으며, 경영진은 기업에 적절한 CSR 투자수준을 결정해야 함 (McWiliams and Siegel. 2001)
정치적 관점
(Political perspective)
정치적 이해관계
정부 당국이 사회적 역할을 수행 할 수 없거나 의지가 없는 경우, 기업이 공공재 공급자로서 책임있는 비지니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함 (Scherer at al., 2016)

3. ESG 구조

기업이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를 달성하기 위한 세 가지 핵심 요소

Environmental
- 환경
Social
- 사회
Governance
- 지배구조
  • 기후변화 및 탄소 배출
  • 환경오염ㆍ환경규제
  • 생태계 및 생물 다양성
  • 자원 및 폐기물 관리
  • 에너지 효율
  • 책임있는 구매ㆍ조달 등
  • 고객만족
  • 데이터 보호ㆍ프라이버시
  • 인권, 성별 평등 및 다양성
  • 지역사회 관계
  • 공급망 관리
  • 근로자 안전 등
  • 이사회 및 감사위원회 구성
  • 뇌물 및 반부패
  • 로비 및 정치 기부
  • 기업윤리
  • 컴플라리언스
  • 공정경쟁 등

ESG 등장배경

1. 최근 ESG가 곳곳에서 화두가 되면서 새롭게 등장한 개념처럼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ESG는 낯선 개념이 아니다. 우리에게 친숙한 ‘지속가능한 발전’ 에서부터 시작된 개념이다. 미래세대의 몫을 생각하며
현 시대의 수요를 충족시키자는 ‘지속가능한 발전’ 에서 기업의 지속적인 생존과 성장에 직접적인 핵심가치를 환경, 사회, 지배구조로 묶어서 말하게 된 것이 바로 ESG이다.

2. ESG 용어는 2004년 UN 글로벌 콤팩트(UNGC)가 발표한 ‘Who Cares Win’이라는 보고서에서 공식적으로 처음 사용되었다. 이후, 2006년 국제 투자기관 연합인 UN PRI가 금융 투자 원칙으로 ESG를 강조하면서 오늘날 기업 경영에서 강조되는 ESG 프레임워크의 초석을 제시하였다. 이에 더하여 자본주의 4.0 및 이해관계인 자본주의 담론이 등장하였으며, 코로나 19 사태를 겪으면서 기후변화, 공중보건, 환경보호 등 ESG 이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장기 투자 측면에서 ESG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ESG 투자가 주류로 편입되었다.

ESG의 규제대응

1. 탄소중립정책

범 지구적인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전세계 250여개국은 파리기후협약에서 지구의 평균기온을 산업화 대비 1.5℃ 이하 억제하기로 약속했다. 이에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주요국은 탄소배출량을
절감하거나 장기적으로 탄소배출량을 제로화 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EU - ’50년 탄소중립
(2019.12 발표)
미국 - ’50년 Net Zero 달성 목표
(2020.7 발표)
중국 - ’60년 탄소중립
(2020.9 발표)
한국 - ’50년 탄소중립 선언
(2020.10 발표)
  • ‘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상향 조정
    (40%~55%)
    • 탄소국경세 ’21년 상반기 도입 검토 中
  • ‘21년 7월 탄소국경세 법안 초안 발표 계획
  • 향후 10년간 최소 1조 유로 조성 계획
    • 연평균 130조원 투자
  • 바이든 행정부 친환경 드라이브 가속화
    • 에너지 전환, 시후변화 대응 인프라에
      4년간 2조 달러 투자
    • 전력부문 2035 탄소배출 제로 달성
    • 친환경차 산업 육성 및 캘리포니아식
      연비규제 강화
    • 기후변화 국제 공조 주도
      (파리협정 재가입)
  • 제14차 5개년 계획 (’21~’25년) 內 이행 계획 포함
    • 기존 친환경 산업 정책 추진력 강화
    • 주요 산업 녹색 전환 등 녹색성장 가속화. 탄소 감축 방안 구체화. 전국 탄소배출권 거래시장 도입
    • ‘37년 전기차 비중 화석연료 차량 추월 전망 등
  • 적응적(Adaptive) 감축
    → 능동적(Proactive)로 전환
  • 3대 정책 방향(10대 과제) 선정
    • ‘25년 內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상향조정 추진
    • 경제구조의 저탄소화. 新유망 저탄소산업 생태계 조성ㆍ탄소중립사회로의 공정전환

2. 스튜어드십 코드(Stewardship code)

스튜어드십 코드(Stewardship code)는 기관투자자가 의결권 행사 등으로 기업 경영에 관여하는 것을 말한다. 2010년 영국에서 최초로 도입되어, 우리나라에서는 2016년에 제도가 갖추어졌다.
국가별 스튜어드십 코드 내 세부원칙은 동일하지 않으나, 투자대상의 지속가능한 성장 및 투자 수익률 제고를 위해 기관투자자 등 수탁자가 책임과 의무를 다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스튜어드십 코드

이미지 자세히보기

ESG 경영체계 구축

ESG 경영을 위해서는 ‘ESG 경영전략’‘ESG 정보공개’ 두 측면이 모두 잘 이루어져야 한다. ESG 관점에서 기업의 전략 과제 등을 설정하고 이러한 활동들을 공개하는 ‘ESG 경영’을 통해 기업가치를
제고할 수 있다.

1. ESG 경영전략

흔히 ESG 경영을 단순히 ESG 평가에 대응하여 좋은 등급을 받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과거 폭스바겐의 ‘크린디젤게이트 ’처럼 평가와 마케팅 위주의 ESG에 대한 접근은 과거 분식회계와 같은 위험한 접근이 될 수 있다. 진정한 ESG 경영이 구축되기 위해서는 기업의 비전과 목표, 전략 등 경영 체계 전반에서 ESG 맞춤 재설계 작업이 필요하다.


ESG 경영의 시작은 ESG 관련 규제에 대응하고 기업의 투자나 자금조달에서 ESG 관련 영향을 검토하는 것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생산을 위한 공급망부터 사용 후 처리까지 전 과정에서 각 기업의 상품과 

서비스가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검토하여야 한다.ESG 경영전략

이미지 자세히보기

ESG 경영전략

이미지 자세히보기

[ 단계별 ESG 경영 체계 ]

2. ESG 경영에 따른 기업가치 제고

ESG 경영은 재무적 이익의 극대화만 추구하는 기존 기업 경영방식에서 벗어난 것으로, 궁극적인 ESG경영 주체‘기업’이다. 기업은 ESG 경영을 통해 매출 극대화, 리스크 관리, 금융비용 감소 등으로 기업가치를 제고할 수 있다.

㈜한국경영정보는 Total ESG 전문서비스 기관으로 ESG 교육, ESG 진단및 코칭,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작성및 검증, ESG 경영평가 업무를 A-Z까지 지원하고 있다.

1 Step 2 Step 3 Step 4 Step 5 Step 6 Step 7 Step 8 Step 9 Step
지원접수 방문상담 견적서 승인 (고객) 수행계획서 승인
(고객)
용역계약 과제착수 대외정보 분석,
대내정보 분석,
이행방안 수립
제시된 목적에 따른
구축 지원
종합결과보고

ESG 정보공개

1. ESG 정보공개 가이던스

이에 더하여, 한국거래소는 지난 2021년 1월 복잡한 글로벌 이니셔티브와 ESG 정보공개에 낯선 기업들을 위해 ‘ESG 정보공개 가이던스’를 발표하였다. ESG 보고 의무화에 앞서 지속가능보고서 발간에 경험이 없는 기업들에 ESG 보고서 작성에 필요한 절차와 권고 공개 지표, 우수사례 등을 제시하였다.

2. ESG 보고서 작성절차

Step 1 주제 선정 Step 2 보고 기회 Step 3 내용 작성 Step 4 내용 검증 Step 5 대외 공개
  • 경영 기초자료 수집 및 검토
  • 국내외 ESG 통합 분석
  •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 내 외부 중요성 평가를 통한 주요
    주제 선정
  • 이해관계자의 관심사항, 기업의
    사업 전략, 주요보고 주제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보고서 구조 설계
  • 글로벌 표준/이니셔티브를
    참고하여 ESG 이슈의 일반적인
    분류 및 구성을 적용
  • ESG 활동에 대한 단순 나열이 아닌
    ESG 요소를 조직의 전략, 조직 구조,
    운영체계 활동 및 성과목표와
    연계하여 작성
  • 정보공개원칙에서 제시된 요건을 고려
  • 작성된 내용에 대한 검증을 통해 신뢰성 확보
  • 검증의 방법 범위 및 검증기관 고려
  • 제3자를 통한 독립적인 검증과
    공인된 검증표준을 준용하여 객관성
    확보
  • 홈페이지 및 전자공시시스템 등
    다양한 채널을 활용하여 연 1회 이상
    공개
  • 공개 시기는 ESG와 재무 정보를
    연계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사업보고서 잘간 시기와 지나치게
    차이가 나지 않도록 주의

기업 혼자만으로 ESG 경영이 완성 될 수 없다. 진정으로 건강한 ESG 경영을 우리 시장에 완성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정한 규제와 기업의 ESG 활동에 대한 객관적 평가, 이를 반영한 소비와 투자가 이루어지는 ESG 생태계가 조성되어야 한다.